주식이야기

트럼프, 해외영화에 100% 관세 선언. 한국 영화 관련 주가, 위기일까 기회일까?

오늘만날이가 2025. 5. 6. 07:24

 

트럼프가 이번에는 해외영화에 관세 폭탄을 던졌습니다.

 

100% 관세 부과라는 강경한 선언에 할리우드가 발칵 뒤집혔고, 글로벌 콘텐츠 산업에도 긴장감이 감돌고 있습니다.

 

과연 이 정책이 한국 영화시장과 관련 주식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지금부터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해외영화에 100% 관세? 진짜 실현될까?

 

 

2024년 5월,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 캠페인 중 “해외에서 수입되는 영화에 최대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약을 공개적으로 언급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리고 오늘(5일) 자 보도로 트럼프 대통령은 미 상무부와 미 무역대표부(USTR)에 외국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에 대해 100% 관세를 즉시 부과하는 절차를 시작할 것을 승인한다고 했다고 합니다.

 

미국 내 자국 보호주의 강화를 위해 나온 이 발언은 단순히 말로 끝날 수 없는 강력한 정치적 메시지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특히 할리우드 업계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고, <Hollywood Reporter>는 실제 주요 배급사들이 수입 구조 조정 회의에 들어갔다는 소식까지 전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충격파는 한국영화시장과 관련 콘텐츠 주식엔 어떤 식으로 번질까요? 단순한 외신 뉴스로 넘기기엔, 꽤 깊은 여파가 예상됩니다.

 

 

 

해외영화 관세, 한국에겐 악재일까?

 

트럼프의 해외영화 관세 조치가 현실화된다면, 미국 내에서 한국 콘텐츠의 유통은 큰 장벽을 맞이할 수밖에 없습니다.

 

넷플릭스, 디즈니+, 애플 TV+와 같은 OTT들이 한국 작품을 수급하는 데 드는 비용과 관세 부담이 커지면 자연히 한국 영화 및 드라마의 미국 진출 기회가 줄어들게 되겠죠.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K-콘텐츠의 해외 수출 중 미국 비중은 전체의 약 25%에 달합니다.

 

이 시장이 위축되면, 중소 콘텐츠 제작사들의 매출에 직접적인 타격이 생길 수 있어요.

 

 

하지만 기회도 있다? 국내시장 중심 시나리오

 

이와 반대로, 미국 영화 수입에 부담이 생기면 국내 멀티플렉스나 플랫폼 사업자들이 한국영화 중심 편성 전략으로 전환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1년 팬데믹 상황에서 해외영화 공급이 급감했을 때 <범죄도시> 시리즈나 <한산> 같은 국내 영화들이 박스오피스를 장악했죠.

 

비슷한 흐름이 반복될 수도 있습니다.

 

한국 소비자 입장에서도 수입 영화 티켓 가격 상승은 국산 영화 선택을 유도하는 요소가 될 수 있고, 이는 국내 영화 배급사와 제작사들의 매출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콘텐츠 관련 주식, 지금 살펴봐야 할 종목은?

 

이번 이슈로 가장 먼저 반응하는 건 주식시장입니다.

 

2024년 5월 초 기준,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CJ ENM, 쇼박스, 스튜디오드래건등의 콘텐츠 종목들이 트럼프 발언 이후 하루 거래량이 급증했습니다.

 

이는 시장이 이번 관세 이슈를 단순 정치 뉴스가 아닌 글로벌 콘텐츠 흐름의 구조 변화로 받아들였다는 방증이죠.

 

특히 해외 수출 비중이 큰 기업은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지만, 국내 OTT와 연계되어 자급률 높은 콘텐츠 회사는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등락이 있겠지만, 중장기적으로 콘텐츠 산업의 자생력이 변수가 될 것입니다.

 

트럼프의 관세 선언, 한국 영화시장에 미칠 영향은?

 

트럼프가 꺼내든 해외영화 100% 관세 카드는, 단순한 선거용 공약을 넘어서 콘텐츠 산업 전체에 구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슈입니다.

 

한국영화 입장에서는 분명 수출 감소 가능성이라는 우려가 존재하지만, 동시에 내수 영화 점유율 확대, 콘텐츠 자립도 상승, 국산 콘텐츠 주식의 투자 매력이라는 기회도 있습니다.

 

앞으로 이 정책이 실제로 실행될지, 또 미국 플랫폼들이 어떻게 대응할지는 아직 미지수지만 콘텐츠 산업 종사자, 투자자 모두가 촉각을 곤두세워야 할 흐름임은 분명합니다. 

 

 

 

 

 

 

해당 내용은 조사분석자료에 기반했으나 그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투자판단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콘텐츠의 내용이 법적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는 본인의 저작물이며 복사, 전송, 변형될 수 없습니다.